Andong
Ryu Seongryong
柳成龍 (1542-1607)
Share

Share X




류성룡 (1542-1607)

류성룡은 퇴계 이황의 문인이며, 김성일과 동문수학하였다. 명종 21년(1566)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권예문관검열, 공조좌랑, 이조좌랑 등의 벼슬을 거쳐 삼정승을 모두 지냈다. 왜적이 쳐들어올 것을 알고 장군인 권율과 이순신을 중용하도록 추천하였고, 화포 등 각종 무기의 제조, 성곽을 세울 것을 건의하고 군비확충에 노력하였다. 또한 도학·문장·글씨 등으로 이름을 떨쳤으며, 그가 죽은 후 문충이라는 시호가 내려졌고, 안동의 병산서원 등에 모셔졌다.

출처 : 문화재청

Ryu Seong-ryong (1542-1607)

Ryu Seong-ryong was a scholar-official of the Joseon Dynasty of Korea. He held many responsibilities including the Chief State Councillor position in 1592. He was a member of the "Eastern faction", and a follower of Yi Hwang.

[Learn more]

Source : Wikipedia





ⓢ Jingbirok (No.132) / 징비록 (국보 132호)



징비록

이 책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서애 유성룡(1542∼1607)이 임진왜란 때의 상황을 기록한 것이다. 징비란 미리 징계하여 후환을 경계한다는 뜻이다. 이것을 저술한 시기는 자세히 알 수는 없으나 유성룡이 조정에서 물러나 향리에서 지낼 때 전란 중의 득실을 기록한 것이다. 내용을 보면 임진왜란 이전에 일본과의 관계, 명나라의 구원병 파견 및 제해권의 장악에 대한 전황 등이 가장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다. 필사본『징비록』은 조수익이 경상도 관찰사로 재임하고 있을 때 필자 손자의 요청으로 인조 25년(1647)에 16권 7책으로 간행하였다. 또한 이것은 숙종 21년(1695) 일본 경도 야마토야에서도 간행되었으며, 1712년에는 조정에서『징비록』의 일본유출을 금할 정도로 귀중한 사료로 평가 받았다. 이 책은 임진왜란 전후의 상황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로『난중일기』와 함께 높이 평가되고 있다.

출처 : 문화재청

Jingbirok

The Jingbirok is a first hand account of the Imjin War written by high ranking Joseon scholar-official Ryu Seong-ryong. Party to high level decision making on the allied Ming-Joseon side and able to access all Joseon records, Ryu Seong-ryong's Jingbirok has become an invaluable source in the study of the conflict, and Chinese-Korean-Japanese relations. In 1969 the Jingbirok was listed as the 132nd of the National Treasures of South Korea.

[Learn more]

Source : Wikipedia




  • There's no registered comment

h·map story

my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