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전
판소리 춘향가(春香歌)가 원본으로, 한국의 고전 작자미상 연애 소설이다. 양반의 아들 이몽룡과 은퇴한 기생 월매의 딸 성춘향의 양반과 천민이라는 신분차에 굴하지 않는 연애담을 소재로 하고 있다. 과거 삼국시대 고구려의 안장왕과 한씨 미녀 설화와 줄거리가 매우 비슷하다. 신분차를 빼면 신라의 설씨녀 이야기와도 매우 유사하다. 춘향가는 판소리 5바탕(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중에서 가장 문학적, 예술적인 가치가 높다고 평가되며, 처음부터 끝까지 곡을 다 부르는 완창 시간 또한 평균 7~8시간 정도로 판소리 5바탕 중 가장 길다.
[자세히보기]출처 : 나무위키
Chunhyangjeon
The Chunhyangjeon is one of the best known love stories and folk tales of Korea. It is based on the pansori Chunhyangga. Date of composition and author are unknown and the present form took shape 1694~1834 from the most famous of the five surviving pansori tales, the Song of Chun Hyang.
[Learn more]Source : Wiki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