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호림박물관
湖林博物館



호림박물관

호림박물관은 호림(湖林) 윤장섭 선생이 출연한 유물과 기금을 토대로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에 처음 개관하였다가 그 후 1996년 3월에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에 박물관을 확장, 신축하여 1999년 5월에 재개관하였다. 현재 1만5천여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60점의 유물이 국가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어(국보 8점, 보물 52점), 소장품의 다양성과 질적인 면에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자세히보기]

출처 : 관악구청

Horim Museum

The museum owns more than 10,000 pieces of Korean art including more than 3,000 earthenwares, 2,100 porcelains, 1,100 celadons, 500 buncheongs, 2,000 paintings, 400 pieces of metal arts amongst many other items.

[Learn more]

Source : Wikipedia




□ White Porcelain Lidded Jar with Plum and Bamboo (No.222) / 백자청화매죽문호 (국보 222호)
□ Buncheong Flat Bottle with Sgraffito Lotus and Fish (No.179) / 분청사기박지연어문편병 (국보 179호)

백자청화매죽문호

조선 전기에 만들어진 뚜껑이 있는 청화백자 항아리로 높이 29.2㎝, 아가리 지름 10.7㎝, 밑 지름 14㎝이다. 아가리가 밖으로 말리고 어깨에서 팽배해졌다가 서서히 좁혀져 내려 가며, 뚜껑은 연꽃봉오리 모양의 오똑한 꼭지가 달렸다. 문양은 엷은 청화로 꼭지와 그 주위에 작고 촘촘한 연꽃무늬 띠를 돌리고, 그 바깥쪽으로 큰 점을 일곱 군데에 찍었다. 뚜껑의 옆면에도 아래 위로 한 줄씩의 가로줄을 그어 그 사이에 점을 찍어 넣었다. 항아리의 어깨와 몸통 아랫부분에는 간략화된 연꽃무늬 띠가 둘러져 있다. 주된 문양은 백자의 면 중앙에 새겼는데, 한 그루의 매화나무 등걸과 대나무를 적절한 농담의 표현으로 그렸다. 이 항아리의 특징은 문양들을 과감하게 간략화시키면서 공간의 여백을 살려 주된 문양을 표현한 점이다. 형태와 문양으로 볼 때 국가에서 관리하는 가마(관요)에서 만든 것으로 추측된다.

[자세히보기]

출처 : 문화재청


□ Transcription of Saddharmapundarika Sutra (No.211) / 백지묵서묘법연화경 (국보 211호)

백지묵서묘법연화경

묘법연화경은 줄여서 ‘법화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우리나라 천태종의 근본경전으로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음을 기본사상으로 하고 있다. 화엄경과 함께 우리나라 불교사상의 확립에 크게 영향을 미쳤으며, 삼국시대이래 가장 많이 유통된 불교경전이다. 이 책은 후진의 구마라습이 번역한『법화경』 7권을, 고려 우왕 3년(1377)에 하덕란이 죽은 어머니의 명복과 아버지의 장수를 빌기 위해 정성들여 옮겨 쓴 것이다. 각 권의 표지에는 금·은색의 화려한 꽃무늬가 장식되였고, 금색으로 제목이 쓰여져 있다. 또한 각 권의 첫머리에는 책의 내용을 요약하여 묘사한 변상도(變相圖)가 금색으로 세밀하게 그려져 있다. 책 끝부분에 있는 일본인이 쓴 기록을 통해, 세종 25년(1443)에 일본으로 유출되었으며, 선조 38년(1605)에는 광대원(廣大院)에 소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책을 쓰게 된 경위를 적은 글과 변상도를 모두 갖추고 있고, 보존상태도 양호할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 되찾아온 문화유산이라는 점에서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자세히보기]

출처 : 문화재청

□ 수월관음도 (보물 1903호)
□ 지장시왕도 (보물 1994호)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h·map story

my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