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재필
徐載弼 (1864-1951)



서재필 (1864-1951)

서재필은 젊은 시절 김옥균, 박영효 등 개화파와 교류하며 근대화 사상을 수용하여 1884년 갑신정변에 참여했으나 3일 만에 정변이 실패하자 일본으로 망명했고,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미국 시민권을 얻고 의학을 공부해 한국인 최초의 서양 의사가 되었다. 1895년 을미사변 이후 조선이 혼란에 빠지자, 1896년 귀국해 독립협회를 조직하고, 한국 최초의 민간 신문인 독립신문을 창간했다. 그는 이 신문을 통해 자주독립, 근대 교육, 인권, 개혁정치를 적극적으로 주장했다. 그러나 보수 세력의 반발로 독립협회가 해산되고 보수파의 탄압이 심해지자 1898년 다시 미국으로 망명하여 의사 활동을 하면서도 미주 한인 독립운동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했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외교 활동을 지원하는 등 독립을 위한 노력을 지속했다. 해방 후 잠시 귀국하여 미군정의 고문으로 활동하기도 했으나, 6.25 전쟁 발발 직전 미국으로 돌아가 1951년 사망했다.


Soh Jaipil

He was one of the organizers of the Gapsin Coup in 1884 as well as the 1896 to 1898 civil rights movement and other suffrage movements. However, when the Gapsin Coup failed, he took refuge in the United States, where he became a medical doctor. During his time in the United States he became the first Korean to gain American citizenship.

[Learn more]

Source : Wikipedia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h·map story

my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