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
일연
1206-1289 / 삼국유사



일연 (1206-1289)

경상북도 경산 출신. 1214년(고종 1) 9세 때 해양 무량사)에 들어가 학문을 닦다가 1219년 대웅에 의하여 승려가 되었다. 1283년 국존으로 추대되어 원경충조의 호를 받고, 이 해 노모의 봉양을 위해서 고향에 돌아갔다. 다음해 조정으로부터 토지 백경을 받아 경상도 군위의 인각사를 중건했고 궁궐에 들어가서 구산 문도회를 개최했다. 그의 저서 <삼국유사>는 한국 고대의 신화와 민간설화를 수집하고, 특히 향가를 비롯한 불교 관계 기사를 수록, <삼국사기>와 함께 고대문학과 역사 연구에 귀중한 문헌이 된다.

[자세히보기]

출처 : Wikipedia

Ilyeon (1206-1289)

He became a monk at Muryangsa Temple at the age of nine, and passed the Seon national examination at 22; at 54 he was given the rank of Great Teacher. When he was seventy-eight, King Chungnyeol offered him a position of rank and tried to make him National Preceptor, but Iryeon declined. The king again appointed him National Preceptor, and Iryeon came down to the capital Kaesong (then Gaegyeong), but soon returned to the mountains on the pretext that his aged mother was sick. On the eighth day of the seventh month in 1289, he held an interview with various monks, and then died.

[Learn more]

Source : Wikipedia




ⓢ Ingaksa Temple / 인각사



인각사

군위읍에서 영천시로 행로를 잡으면 위천의 상쾌한 흐름이 이어지고, 30분 정도 달리면 고로면 화북리에 발길이 닿는다. 이곳에는 고려의 명승 일연스님이 머물면서 삼국유사를 저술한 천년 고찰 인각사가 자리잡고 있다.인각사는 신라 선덕여왕11년에 의상대사가 창건했다.

[자세히보기]

출처 : 한국관광공사

Ingaksa Temple

Ingaksa Temple was erected by the Buddhist priest Uisang in 642 (the 11th year of Queen Seondeok’s reign of Silla), underwent a major reconstruction upon the king’s order during the 10th year of King Chungryeol’s reign of Goryeo, and was designated as the dwelling place of the great Buddhist priest Il-yeon along with the granting of land.

[Learn more]

Source : GUNWIGUN


ⓣ Samguk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 삼국유사



삼국유사

삼국유사에는 삼국과 가락국의 왕대와 연대, 고조선 이하 여러 고대 국가의 흥망·신화·전설·신앙 및 역사, 불교에 관한 기록, 고승들에 대한 설화, 밀교 승려들에 대한 행적, 고승들의 행정, 효행을 남긴 사람들의 이야기 등이 수록되어 있다. 삼국유사에 실려있는 모든 설화는 삼국 시대의 것이지만, 유동하던 이야기가 고려 시대에 와서 문자로 정착된 것이다.

[자세히보기]

출처 : Wikipedia

Samguk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Many of the founding legends of the various kingdoms in Korean history are recorded in Samgungnyusa. The text covers legends from many Korean kingdoms, including Gojoseon, Wiman Joseon, Buyeo, Goguryeo, Baekje, Silla, and Gaya. Unlike the more factually-oriented Samguk Sagi, the Samgungnyusa focuses on various folktales, legends and biographies from early Korean history. Given its mythical narratives, Samgungnyusa's reliability is questionable.

[Learn more]

Source : Wikipedia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h·map story

my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