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종직 (1431-1492)
김종직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이며, 성리학자, 정치가, 교육자, 시인이다. 세조 때에 동료들과 함께 관직에 진출하여 세조~성종 연간에 동료, 후배 사림파들을 적극 발탁하여 사림파의 정계 진출 기반을 다져놓았다. 1459년(세조 5년) 문과에 급제하여 출사하여 성종 초에 경연관·함양군수·참교(參校)·선산부사를 거쳐 응교(應敎)가 되어 다시 경연에 나갔으며, 승정원도승지·이조 참판·동지경연사·한성부 판윤·공조 참판·형조 판서·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재지사림의 주도로 성리학적 정치질서를 확립하려 했던 사림파의 사조의 한사람이자 중시조격이다. 그러나 세조의 즉위를 비판하여 지은 〈조의제문〉이 무오사화를 불러일으켰다.
[자세히보기]출처 : Wikipedia
Kim Jongjik (1431-1492)
Gim Jongjik, often known by his pen name Jeompiljae, was a leading Korean Neo-Confucian schola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e was born in Miryang in Gyeongsang province, to a yangban family of the Seonsan Gim lineage. He passed the jinsa literary licentiate examination in 1453 and the higher examination in 1459. After passing the examination, Gim entered government service, holding a wide range of positions. He earned the special favor of King Seongjong, as well as the enmity of the Hungupa (Loyal Retainers) faction.
[Learn more]Source : Wikipedia
무오사화
무오사화(戊午士禍, 1498)는 조선 전기 사림이 본격적으로 정치적 탄압을 받은 최초의 사화로, 훈구와 사림의 이념적 대립이 폭발한 사건이었다. 성종은 훈구 중심의 정치를 개혁하기 위해 사림을 등용했지만, 그가 죽자 어린 연산군이 즉위하며 권력의 공백이 생겼고, 훈구 세력이 이를 틈타 정국을 장악했다. 이 시기에 실록 편찬 작업이 이루어졌는데, 사림 출신 김일손이 <성종실록> 초고에 스승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수록한 것이 화근이 되었다. "조의제문"은 단종의 비극을 애도하면서, 사실상 세조의 찬탈 행위를 우회적으로 비판한 글이었다. 훈구파는 이를 자신들의 정치적 정당성을 흔드는 글로 받아들였고, 연산군에게 "선왕을 모독한 반역 문장"이라 고했다. 연산군은 사림의 기록을 왕권에 대한 도전으로 인식했고, 결국 대대적인 숙청이 단행되었다. 김일손은 능지처참, 김종직은 부관참시, 정여창, 이목 등 다수의 사림이 유배되었다. 무오사화는 단순한 정치 사건이 아니라, 훈구와 사림의 세계관이 충돌한 사상적 전환점이었다. 이 사건 이후 사림은 일시적으로 몰락했으나, 그들의 도학적 정치는 이후 중종대의 사림 재등장과 조선 중기의 도학 중심 정치체제로 이어지는 기반이 되었다.